K-패스 카드 발급방법 및 혜택안내

K-패스는 51일부터 국토교통부에서 정기적 대중교통 이용을 지원하여 서민, 청년층 부담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전국(189 지자체)에서(189지자체) 시행하는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입니다. 새롭게 발급하는 K-패스 카드발급방법 및 혜택 그리고 기존의 알뜰교통카드와  비교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K-패스 카드, 국토부

 

 

K-패스 카드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월 최대 60회까지 적립하여 다음 달에 환급받을 수 있으며, 이동거리 관계없이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받는 간편한 카드입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vs. K-패스카드

카드 유형 조건 출도착기록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 환급 필요
K-패스 이동거리 관계없이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 환급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무제한 이용
불필요

 

 

K-패스 카드 발급안내

K-패스를 이용하려면 K-패스 카드를 별도로 발급받은 후 카드 등록을 위해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K-패스 발급은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셔야 합니다. 신청서를 작성하고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면 K-패스 카드가 발급됩니다K-패스 출시 일주일 전인 424일부터 신규접수를 시작하여 51일부터 혜택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격조건]

  • 18세 이상의 성인
  • 본인을 인증할 수 있는 신원증명서(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과 같은 공인된 신분증)
  • 은행이나 금융기관의 고객
  • 계좌 개설 가능한 자, 해당 은행에서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자

 

[카드 발급 카드사 안내]

협업카드사 10에서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협업카드사는 국민카드, 농협카드, BC카드(BC바로, 광주은행, IBK기업은행, 케이뱅크), 삼성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DGB유페이카드, 이동의 즐거움(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모바일교통카드)이 있으며, 참여 카드사별로 카드 이용 실적에 따라 추가혜택이 제공됩니다. 카드 발급 신청 및 자세한 사항은 각 카드사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발급수수료는 협업 카드사 별로 다를 수 있고, 이외에 추가비용도 발생할 수 있으며, 발급 시 소요기간은 1주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K-패스 발급방법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

  • K-패스로 회원 전환 :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에 발급받은 교통카드 그대로 사용
  • 알뜰교통카드는 4월 30일까지 이용가능하고, 회원전환은 알뜰교통카드 누리집에서 6월 30일까지 가능
  • 회원전환을 하지 않으면 환급혜택을 받을 수 없으므로, 4월 30일까지 회원전환 필요

 

 

 

K-패스 회원 전환 방법

1.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

2. 현재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 카드번호를 입력

3. 주소지 검증을 위한 주민등록번호를 입력

4. 이용약관에 동의

5. 전환 완료

 

[신규 이용자]

  • K-패스 홈페이지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K-패스 홈페이지와 앱은 51일부터 이용가능

 

 

 

카드 혜택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까지 꼼꼼히 확인하셔서 환급받으시기 바랍니다.

K-패스 환급률 )1,500원기준 월 최대 적립액 1년 적립액
일반 20% 300 14,000 최대 170,000
청년(19~34) 30% 450 27,000 최대 250,000
저소득(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50% 800 37,000 최대 440,000

 

[카드 혜택 적용지역안내]

선불충전식, 후불형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 모두 이용가능하며, 이용 계층에 따라 최소 20%에서 최대 53%까지 적립할 수 있습니다.

적용대상 교통편
일반시내버스, 지하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광역버스
시내마을심야버스, 따릉이, 리버버스, 광역버스

대중교통

 

참여지자체(전국 189지자체 참여)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전체
충청권 대전, 세종, 충남전체, 충복(청주, 옥천, 제천, 충주, 음성, 진천, 보은, 영동, 증평, 괴산, 단양)
전라권 광주, 전북(전주, 익산, 남언, 완주, 군산, 정읍), 전남(순천, 무안, 신안, 여수, 목포, 해남, 광양, 나주, 담양, 장성)
경상권 부산, 대구, 경남전체, 경북(포항, 영주, 경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칠곡, 경산, 안동)
강원 춘천, 강릉, 원주, 홍천, 양양, 동해, 삼척, 태백, 횡성, 영월
제주 제주전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