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백일해 환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10년 동안 최다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최근에 교육시설 중심으로 집단 발생이 보고되는 등 백일해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전염성이 매우 높고, 주로 유아와 어린이에게 치명적인 백일해의 증상, 예방접종 시기 및 접종가격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금바로 내 집 주변 예방접종 병원의 가격을 알아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확인해보세요.
백일해란?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감염력이 강한 호흡기 질환입니다. 주로 유아와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며, 초기에는 일반적인 감기 증상과 비슷한 기침, 콧물, 재채기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질병이 진행되면 기침이 심화되고, 기침 발작 시 심한 기침 소리와 함께 구토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백일해라는 이름은 100일동안 지속되는 기침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여름과 가을에 백일해의 발병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며, 가족 내 2차 발병률이 80%에 달합니다. 연령이 어릴수록 사망률이 높아지며, 1세 미만의 사망률이 가장 높습니다.
백일해 증상
백일해 감염은 백일해 환자와의 직접 접촉, 기침 및 재채기 등에 의한 호흡기 전파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백일해 초기에는 일반적인 감기 증상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콧물, 재채기, 가벼운 기침 등이 나타나며, 이는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 후 7~10일 이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백일해가 진행되면 기침이 점점 심화되며, 기침 발작 시 심한 기침 소리와 함께 "흡" 소리를 내며 숨을 쉴 때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침 발작이 심해지면 구토를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일반적으로 1~2주 정도 지속되며, 환자의 나이와 면역력에 따라 증상의 심각성은 다를 수 있습니다. 중기는 2~4주 정도 혹은 그 이상 계속되는데, 무호흡, 청색증, 비출혈, 경막하 출혈, 하안검 부종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회복기에 이르면, 기침의 정도, 횟수, 구토가 점차 감소하며, 이는 1~2주 정도 계속됩니다.
백일해 예방접종 대상 및 시기
백일해 예방접종은 모든 연령대에게 권장사항이지만, 특히 임산부 또는 아이, 아이와 접촉이 잦은 가족들이 먼저 예방 접종을 받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임산부의 경우 출산 예정일 1~3개월 전에 접종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적절한 접종 시기가 달라질 수 있어, 접종 전에는 반드시 전문의와 함께 상의할 것을 권유합니다.
정부는 국가예방접종사업(NIP)에 따라 무료 예방접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aP) 백신은 생후 2·4·6개월에 기본접종 3회를 마치고, 그 이후에 생후 15~18개월 또는 만 4~6세가 되었을 때 1회 추가 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나서 만 11세 ~ 12세가 됐을 때 1회 추가 접종을 하고, 성인이 된 후 10년에 한번씩 추가 접종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 접종 후 적기에 추가 접종하는 게 중요하며, 특히 4~12세 어린이는 불완전한 접종 상태에서 백일해에 걸릴 우려가 있으므로 추가 접종할 것을 권장합니다.
백일해 예방접종 가격
생후 2개월부터 만 12세까지의 영유아는 국가에서 예방접종비를 지원해 주기 때문에 직접 비용을 부담하지 않아도 되지만, 성인은 백일해와 같은 예방접종은 본인이 비용을 부담해야 합니다. 다만, 임산부의 경우 보건소에서 무료로 접종해 주니 지역 보건소에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사업에 참여하여 예방접종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본인이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데, 백일해 예방 접종 가격은 어디서 접종을 맞는지에 따라 가격이 상이합니다. 병원에서 맞는 것과 보건소에서 맞는 것은 가격에서 차이가 있는데, 보건소가 좀 더 저렴하지만, 모든 보건소에서 백일해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확인을 해 보고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 병원에서의 예방접종비용은 보통 3 ~ 5만원입니다. 집 근처 병원의 백일해 예방접종 가격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 들어가서 내가 사는 지역을 선택한 뒤, 비급여 진료비 항목에 "백일해"라고 입력한 후 상세분야를 선택한 후 <선택항목검색>을 누르면, 내가 사는 지역 근처 병원의 백일해 예방접종 가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경기패스 신청 방법 및 카드혜택 (0) | 2024.05.13 |
---|---|
프리랜서 알바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1) | 2024.05.09 |
2024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자격조건 신청기간 비교 (0) | 2024.05.01 |
2024 국민 내일 배움카드 발급 신청방법 신청자격 사용처 (1) | 2024.04.27 |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및 K-패스 비교 (0) | 2024.04.25 |